개요
이 글은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위한 초간단 설정법이다.
2022년 7월 13일에 작성한 글을 2023년 8월 31일에 수정하였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는 교육용 소형PC이다. 교육용 PC이기에 성능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가격이 컴퓨터 치고 굉장히 저렴한 가격(10만원 대)덕분에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이것저것 해보기에 굉장히 많이 사용하고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ARM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하는 소형 컴퓨터로, 크기가 작고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동작하며, 프로그래밍 학습, 인터넷 브라우징, 문서 작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 핀을 가지고 있어 하드웨어 제어 및 프로젝트 구현에도 활용되며, 커뮤니티와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소프트웨어와 액세서리로 확장성이 높다. 주로 교육, 개인 프로젝트, 홈 자동화 등에 활용된다.
라즈베리파이 설정
준비물
- 물론 라즈베리파이 (나는 라즈베리파이4를 선택했다.)
- 물론 PC (맥 환경에서 작업했다.)
- sd카드 리더기 (라즈베리파이는 기본적으로 주된 저장공간을 마이크로sd카드를 사용한다.)
라즈베리파이OS 설치
라즈베리파이 imager
라즈베리파이를 설치하려면 우선 raspberrypi.com에 들어가서 Raspberry Pi OS imager를 컴퓨터에 설치해야한다.
각자 본인에게 맞는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파일을 다운받은 후 실행시킨다.
운영체제 선택
버튼을 누르고
맨 위에 있는 32비트 라즈베리파이OS를 선택한다.
꼭 라즈베리파이OS가 아니더라도 다른 OS를 설치할 수 있다. 다른 OS를 설치하고 싶다면 Other general purpose OS를 선택하면 된다.
저장소 선택
다시 돌아가
자신이 컴퓨터에 꽂은 sd카드를 선택한다.
⛔️ 당연하지만 sd카드에 os를 설치할 때 sd카드는 포맷이 된다. 안에 중요한 파일이 있는지 확인 후 설치하기 바란다.
설정
버튼을 누르면 각종 설정들이 나온다.
설정에는 hostname설정, ssh설정,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wifi설정, 로케일 설정 지정이 있다.
hostname
hostname은 pc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임의로 적어넣자.
ssh
ssh는 켜는게 좋다. 혹시나 ssh가 모르는 사람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ssh는 원격으로 pc의 터미널을 조작할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라고 보면 되겠다.
ssh 사용자이름@라즈베리파이ip
사용자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사용자이름은 보통 pi라고 둔다. 임의로 정해도 관계없다.(본인이 사용자폴더 등등을 구분할수 있다면)
비밀번호는 임의로 정하면 되겠다.
wifi설정
wifi는 본인이 사용하는 와이파이 ssid와 비밀번호를 적어넣으면 된다. 주의할점은 wifi 국가는 KR로 골라야 한다.
로케일 설정 지정
시간대 : Asia/Seoul
키보드 레이아웃 : kr
저장 후
라즈베리파이 시작하기
준비물
- micro HDMI 선
- 모니터
- 키보드
- 마우스
- c타입 케이블 or 충전기
- 랜선
기본 설정
라즈베리파이를 시작하려면 일단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를 꽂고 전원을 연결하고, 공유기에 랜선을 연결한다. 그럼 끝이다.
사실 위에 적은 준비물 한개도 필요 없다.(충전기 빼고)
우리가 앞서 라즈베리파이 imager의 설정에서 ssh를 미리 켜두었기 때문에 앞으로 나올 터미널 커맨드들을 열심히 따라오기만 하면 위 준비물 없이도 잘 동작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혹시 모르니 준비해두길 바란다.
ssh 접속
ssh 접속을 하려면 우선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알아야 한다. 우선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들어가자.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들어가면 유선으로 연결된 장비들의 리스트가 나와있다. 그 리스트와 공유기의 포트 이름을 대조해가며 라즈베리파이의 ip를 확인한다.
글이 길어지기 때문에 ip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적지 않겠다.
ip를 확인했다면 고정ip로 지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어차피 24시간 돌아가고 있을테니 dhcp로 ip를 지정받더라도 ip가 바뀔 확률은 크지 않겠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 그렇게 하는 것을 권장한다.
ip를 알아냈다면, 터미널을 켜자.
맥과 리눅스라면 터미널, 윈도우라면 명령프롬프트(cmd)를 열면 된다.
ssh 사용자이름@라즈베리파이ip
위 커맨드에 사용자이름에 위 라즈베리파이 imager에서 설정한 사용자이름(기본값이라면 pi)를 적고 @를 붙인뒤에 ip를 적고 ⏎.
위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적고 ⏎.
접속완료
라즈베리파이 업데이트
라즈베리파이OS의 기능들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자.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만약 무언가를 물어보는 문구가 나온다면 y를 눌러주자.
기다리면 끝!